[서울시]올해 서울 전역에서 134개 지역 축제 펼쳐진다. > 누리안테나(정보마당)

본문 바로가기

자유게시판
커뮤니티

사랑나눔

상담/후원 및 자원봉사

02) 2064.0896

국민은행

459601-01-471714
누리장애인자립생활센터

자유게시판

[서울시]올해 서울 전역에서 134개 지역 축제 펼쳐진다.

페이지 정보

profile_image
작성자 누리CIL
댓글 0건 조회 2,933회 작성일 15-02-09 14:24

본문

□ 30여 개 국의 다양한 음식과 문화를 체험하는 ‘이태원 지구촌 축제’(10월)는 평소에도 외국인들로 붐비는 지역의 특색을 잘 살린 용산대표축제다. 1950년대 전까지 번성했던 마포나루의 모습을 재현해보는 ‘마포나루 새우젓축제’(10월) 역시 지역색이 돋보이는 마포의 개성 있는 축제.

 

□ 올 한 해 서울 곳곳에서 이와 같이 크고 작은 134개 지역 축제가 펼쳐진다.

  134개 지역축제 자세히 보기 

 

□ 서울시는 총 20억 원의 예산을 투입, 주민이 직접 만들고 시민이 함께 어우러질 수 있는 축제의 개최를 지원한다고 6일(금) 밝혔다.

 

□ 시는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더 나아가 시를 대표하는 축제로 성장시켜 서울의 브랜드 가치를 높여나가기 위해 올해 예산 규모를 첫 지원 해인 2013년보다 2배 가까이 늘렸다.

※ 2013년 : 55개 축제(11억 원) → 2014년 : 87개 축제(12억 원) → 2015년 : 134개 축제(20억 원)

 

□ 특히, 134개 중 25개는 각 자치구의 역사성, 지역성, 개성을 특화한'대표축제'다.

 

□ 예컨대, 매년 봄기운이 느껴지는 4월, 벚꽃이 만개한 여의도 윤중로에서 펼쳐지는 ‘한강 여의도 봄꽃축제’(영등포구)는 매년 약 700만 명이 다녀가는 대표 지역축제다.

 

□ 이 밖에도 노량진수산시장에서 열리는 ‘도심 속 바다축제’(동작구), 암사동 선사유적지와 연계한 ‘강동선사문화축제’(강동구) 등도 지역색이 돋보이는 개성있는 축제들이다.

 

□ 나머지 109개는 '소규모 지역특성화 축제'로, 시민들은 사계절 내내가까운 동네에서 음악회, 노래자랑, 플리마켓 등 다양한 문화예술에 참여할 수 있고, 이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.

□ '소규모 지역특성화 축제'는 궁중음식, 국악, 클래식, 인디밴드 공연 등 소소하지만 알찬 문화산업 위주로 선정, 지역주민들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장르를 접해볼 수 있는 기회를 넓히고 주민 간 서로 소통하는 장으로 뿌리내릴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.

 

□ 예컨대, 덕수궁 중화전 앞마당에서 열리는 ‘봄날의 고궁음악회’(중구)에서는 멋스런 고궁에서 수준높은 클래식 연주를 감상할 수 있고, 젊음의 거리 홍대에서 열리는 ‘서울프린지페스티벌’(마포구)에서는 연극, 무용, 영상 등 독립예술인들의 공연이 펼쳐질 것으로 기대된다.

 

□ 특히, 올해는 ‘말죽거리시장 축제’(서초구), ‘능마루·미가로 맛의 거리축제’(광진구), ‘수유시장 상가활성화 축제’(강북구) 등 재래시장에서 펼쳐지는 소규모 축제를 적극 지원해 재래시장을 활기 넘치는 문화공간으로 탈바꿈시킨다는 계획이다.

 

□ 김혜정 서울시 문화예술과장은 “이번에 선정된 134개의 크고 작은 축제들이 지역주민간 화합의 자리, 더 나아가 지역과 서울을 대표하는축제로 성장해나가도록 재정적·행정적으로 지원할 것”이라며 “시와 자치구간 꾸준한 소통으로 지역의 개성을 담은 우수한 축제 콘텐츠를지속적으로 발굴·육성해 나가겠다”고 말했다.

 

 

붙임 : 1. 자치구대표축제 세부내역 1부.

2. 지역특성 문화사업 지원현황 1부.

첨부파일


개인정보취급방침

단체명: 누리장애인자립생활센터 고유번호: 109-82-67755 대표: 진형식 이메일: nuri.2009@hanmail.net
주소: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동로 126, 삼정코아상가 203-1호, 204-4호, 204-2호 누리장애인자립생활센터
전화: 02-2064-0896 팩스: 02-2662-0897

Copyright(c) 2020 누리장애인자립생활센터 All right reserved. Icons from Flaticon